오늘은 잡음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보통 자유공간으로 전파되는 전자파는 공기 중에 항상 존재하는 잡음을 고려해야 하는데, 그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 AWGN입니다. AWGN은 전 주파수 범위에 통계적으로 랜덤분포하는 잡음으로 실험실이나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모의실험 등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의 단어를 풀어서 설명하자면

가산성 잡음으로 원래의 신호에 잡음이 더해짐을 의미합니다.

전 주파수 대역에 고르게 퍼져 있는 백색잡음을 의미합니다.

가우스가 만든 정규분포를 따르는 신호로 어느 정도 랜덤하면서도 자연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분포를 가진 잡음을 의미합니다.
AWGN의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대로 잡음을 가정하지 않은 나이키스트 통신채널 모델링이 있습니다만 당연히 실제 우리환경과 맞지 않아 이론적 증명으로만 활용되고 있습니다.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의 단어를 풀어서 설명하자면
- Additive : 더하는, 더해지는

가산성 잡음으로 원래의 신호에 잡음이 더해짐을 의미합니다.
- White : 백색

전 주파수 대역에 고르게 퍼져 있는 백색잡음을 의미합니다.
- Gaussian : 가우시안

가우스가 만든 정규분포를 따르는 신호로 어느 정도 랜덤하면서도 자연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분포를 가진 잡음을 의미합니다.
AWGN의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력밀도 스펙트럼이 전 주파수에 일정
- 신호의 평균전력은 ‘0’
- 시간과 무관한 평균전력 및 자기상관
- 통계적 성질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정상적인 확률과정(Stationary)
- 실제 실현은 불가능한 신호
반대로 잡음을 가정하지 않은 나이키스트 통신채널 모델링이 있습니다만 당연히 실제 우리환경과 맞지 않아 이론적 증명으로만 활용되고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